전체 글15 한국의 소스 '장류' ▶다양한 장들 한국에서 쓰이는 대표적인, 그리고 보편화된 소스가 바로 '장류'이다. 쉽게 말하자면 된장, 고추장, 간장 등 그 외에도 끝에 '장'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한국 고유의 발효 조미료를 말한다. 국이나 찌개를 만들때에도, 반찬을 만들때에도 소금이나 설탕 등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단연 장류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장을 담그는 문화는 '장 담그기' 라는 문화로 국가무형문화재에 공동체 종목으로 등록이 되어 있다. 한국인의 입맛에는 절대 없어서는 안될 한국의 대표 조미료들은 과연 언제부터 시작되었고 어떻게 발전되었을까? ▶된장에 대해 된장은 콩으로 만든 메주를 소금물에 발효시킨 식품이다. 발효되는 과정에서 나오는 소금물은 체에 걸러 끓인 후 식히면 간장이 된다. '된장'이라는 이름은 '농하다'를 뜻하는 .. 2023. 12. 5. 빵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빵의 역사 빵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음식 중 하나이며, 신석기 시대로부터 만들어져 왔다. 발효 빵을 처음 만들어 낸 것은 고대 이집트인들이다. 조와 보리로 만든 납작한 갈레트를 뜨겁게 달군 돌판 위에 구워 먹었는데 이때 발효의 원리를 발견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기원전 히브리 민족은 출애굽당시 효모를 가지고 나오지 않아 발효하지 않은 빵인 무교병을 먹으며 홍해를 건넜다. 그리스인들은 석쇠, 혹은 팬과 흡사한 용기에 밀가루 빵을 구워 먹었다. 로마인들은 벽돌과 흙으로 만든 가정용 오븐에서 빵을 구워 먹었고 대부분 향을 첨가했다. 갈리아인들은 자신들의 맥주인 세르부아즈를 반죽에 넣어 발효가 잘 된 빵을 만들어 냈으며 큰 인기를 끌었다. 제빵사라는 직업이 떠오르기 시작한 것은 중세시대부터이다. 이때부터 .. 2023. 12. 4. 붕어빵의 역사 ▶추운 겨울 필수간식 날이 쌀쌀해지고 사람들의 겉옷이 두꺼워지면 꼭 생각나는 간식이 있다. 바로 붕어빵이다. 붕어빵을 위해 주머니에 꼬깃하게 2천원을 챙겨놓는 것은 이제 기본이다. 심지어 '붕세권'이라는 말도 생겨났다. 어릴적 붕어빵 가격을 생각해보면 붕어빵이 2개에 천원, 또는 3개에 천원이였지만 물가가 오른만큼 붕어빵도 3개에 2천원 정도로 유지되고 있는 것 같다. 붕어빵에 대해 어떤 사람은 팥이 들어가 있는 붕어빵이 맛있다, 또는 슈크림이 들어가 있는 붕어빵이 맛있다며 논쟁을 불러 일으킨다. 오늘은 한국인들의 겨울에 없어서는 안 될 붕어빵에 대해 알아보자. ▶붕어빵의 시작 붕어빵은 1930년대에 일본에서 우리나라로 들어오게 되었다. 19세기 말 일본의 '다이야키'라는 빵이 그 원조인데 우리말로 한다.. 2023. 12. 3. 떡볶이 먹고 싶은 날 ▶붉은 빛깔, 쫀득한 식감 이름만 들어도 침이 나오는 듯한 남녀소노 누구라도 할 것 없이 좋아하는 음식이라고 한다면 단연 떡볶이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생때부터 심지어는 어린이 때부터 먹던 익숙한 맛에 약간의 매콤함, 그리고 떡으로 배가 든든하기 때문에 모든이에게 사랑받는다. 요즘은 다양한 브랜드에서 다채로운 맛의 떡볶이를 개발하다보니 점점 먹어보지 못한 떡볶이들이 즐비하고 있다. 떡볶이는 혼자 먹어도, 여럿이 먹어도, 만들어 먹어도, 사 먹어도 맛있는 한국의 대표 간식 아닐까? 한 조사에서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한식 10위에 떡볶이가 올라간 바가 있으며 분식 중 대중적 인기로는 최고라 할 만 하다. ▶떡볶이의 시작은? 과연 우리가 먹는 떡볶이는 언제부터 먹기 시작했을까? 떡볶이의 시초는 조선시대 궁중에서.. 2023. 12. 2. 사랑해요 삼겹 ▶삼겹살이란? 삼겹살은 돼지고기의 한 부위로, 살코기와 비계층이 3번 겹쳐져 있다고 해서 삼겹살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실젤는 껍데기를 제거한 상태에서 살코기와 지방 부분이 4번 겹쳐져 있는 것이 보통이다. 돼지고기의 특정부위를 지칭하는 용어로써 식재료를 의미함과 동시에 음식의 이름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가장 고소하지만 기름기가 많아 칼로리가 높고, 다양한 조리법으로 조리되는 재료이다. 110kg정도의 돼지에게서 10kg정도가 생산된다. 생각보다 그렇게 많은 양이 생산되지 않는다. ▶한국인의 삼겹살 사랑 삼겹살은 한국인들이 가장 선호하고 좋아하며 사랑하는 대중적인 부위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매년 3월3일을 삼겹살데이로 부르는 비공식적인 기념일이 존재하고 이날에는 삼겹살을 즐기는 문화가 정착되어 가.. 2023. 12. 1. 추운데 삼계탕이나 먹을까? ▶한국의 보양식 여름에 꼭 먹어야하는 보양식 중 하나를 떠올리자면 삼계탕이 있다. 이열치열이라는 말 처럼 복날에 뜨거운 삼계탕을 먹으며 땀을 내야 여름을 잘 보낼수있다는 그런 말 들어본적 있지 않는가. 삼계탕은 어린 닭에 찹쌀, 인삼, 대추, 밤, 황기 등을 넣고 푹 고아 만든 닭 요리이다. 이름에서도 삼이 들어가듯이 인삼이 들어가지 않으면 삼계탕이 아니다. 삼계탕에 있어서 인삼은 꼭 넣어야 하는 필수 재료이다. 대부분의 한국인들이라고 하면 삼계탕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오늘은 삼계탕에 대해 한번 알아보기로 하자. ▶삼계탕? 백숙? 명칭에 대해 헷갈려하는 사람들이 많다. 삼계탕과 백숙을 똑같이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다르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백숙이라는 단어 자체가 내장을 제거한 고기 속에 부.. 2023. 11. 30. 이전 1 2 3 다음